파운드 푸티지 형식이 만들어낸 몰입과 현실감
2018년 곤지암이 극장에 걸렸을 때, 저는 이 영화가 한국 공포영화 역사상 손꼽히는 흥행작이 될 줄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정범식 감독이 연출하고, 위하준과 박지현이 주연을 맡은 이 작품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히트를 친 블레어 윗치나 파라노말 액티비티처럼 파운드 푸티지(Found Footage) 형식을 활용한 작품이다. 하지만 곤지암은 그런 해외 작품들의 단순한 한국 버전이 아니었다. 훨씬 더 분위기 있고, 문화적으로도 공감되며, 무섭도록 실감 나는 공포를 안겨주는 작품이었다. 제 관점에서 곤지암이 크게 흥행한 이유는 단순히 ‘무서웠기’ 때문이 아니다. 다르게 무서웠기 때문이다. 라이브 방송, 바이럴 콘텐츠, 도시괴담 같은 디지털 시대의 공포심을 정조준하며 몰입감 넘치는 현실적 공포를 많은 이들에게 선사했다. 제가 가장 인상 깊게 느낀 건 바로 파운드 푸티지 형식이다. 곤지암은 유튜버들이 실제 폐병원인 ‘곤지암 정신병원’에 들어가 귀신을 촬영하겠다는 생방송 콘셉트를 가지고 있다. 이 설정 자체가 매우 그럴듯했고, 요즘 시대에 충분히 일어날 법한 이야기처럼 느껴졌다. 전통적인 공포 영화처럼 유령이 날아다니거나, CG 괴물이 등장하지 않는다. 대신 흔들리는 카메라, 갑작스러운 정적, 자연스러운 반응, 그리고 압박감 속에서 무너지는 인간 심리를 통해 진짜 ‘무서움’을 전달한다. 제가 작품을 보는 동안 마치 제가 촬영팀의 일원이 된 듯한 느낌이 들었다. 공포는 크고 자극적인 것이 아니었다. 조용하게, 그리고 천천히 다가왔죠. 무엇이 진짜고, 무엇이 설정이며, 과연 이 모든 것이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일인가 하는 혼란이 지속적으로 공포감을 증폭시켰다. 이런 구성 덕분에 단순한 보는 공포가 아니라, 직접 체험하는 공포를 만들어냈다. 그래서 수많은 공포 작품들 사이에서도 곤지암은 확실히 두각을 드러냈다고 생각한다.
바이럴 마케팅과 도시괴담의 효과적인 활용
제가 극장에 가기 전부터 느꼈던 또 하나의 성공 요인은 바로 바이럴 마케팅이었다. 실제로 ‘곤지암 정신병원’은 오래전부터 한국에서 유명한 도시괴담의 장소로 입소문이 돌던 곳이었다. 귀신 목격담, 환자 학대설, 설명되지 않는 사건들이 온라인에서 오랫동안 회자되어 왔죠. 제작진은 이러한 현실 속의 괴담을 영화에 효과적으로 끌어왔다. 관객들이 이미 알고 있는 무서운 장소를 배경으로 삼았기 때문에 그 공포감은 더욱 배가될 수밖에 없었다. 제가 특히 인상 깊었던 건 개봉되기 전부터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흐리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예고편은 실제 유튜브 생중계 티저처럼 보였고, SNS에는 “이거 진짜야?”라는 반응이 넘쳐났다. 이 입소문이 결국 극장으로 이어졌다. 단순히 ‘영화 한 편’을 보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공포 체험 이벤트’처럼 느껴졌다. 저처럼 평소 공포영화를 즐겨보는 사람에게도 ‘실제 장소를 배경으로 했다’는 설정은 그 자체로 더욱 오싹한 경험을 만들었다. 결국 그 심리적 장치가 수많은 사람을 극장으로 이끈 것이다.
신선한 배우들과 자연스러운 연기, 현실적인 캐릭터 관계
2018년 당시만 해도 위하준과 박지현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배우는 아니었다. 그런데 오히려 그 ‘낯섦’더 큰 몰입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인물들은 화려하거나 과장된 인물이 아니었고, 꾸미지 않은 채 자연스럽고 현실적인 모습 그대로 등장했다. 인터넷 유명세를 좇아 폐병원에 들어간 젊은이들. 우리 주변에도 있을 법한 인물들이었기에, 그들의 공포가 곧 우리의 공포처럼 느껴졌다. 또한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나 행동도 매우 현실적이었다. 처음에는 장난치고 웃고 떠드는 평범한 친구들이었지만, 상황이 악화되면서 그들의 행동은 점점 무너지고 본능적으로 변해간다. 과장된 영웅담도, 느린 슬로모션도 없다. 대신 혼란, 배신, 공포, 그리고 절망만이 남는다. 이것이야말로 진짜 공포라고 생각한다. 특히 위하준의 연기는 지금은 글로벌한 인지도를 갖춘 배우답게, 당시에도 자연스러움과 현실감을 잘 살려냈다. 덕분에 사건을 단순한 픽션이 아닌, 눈앞에서 벌어지는 ‘실제 공포’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결국 곤지암은 그저 또 하나의 공포영화가 아니었다. 그건 ‘경험’이었다. 몰입감 넘치는 구성, 실감 나는 배우들, 바이럴 마케팅, 실제 존재하는 도시괴담까지… 이 모든 요소가 절묘하게 맞아떨어지며 한국 공포영화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고 생각한다. 저 역시 극장에서 나올 때, 단순한 점프 스케어 때문에 놀란 것이 아니라 “이건 진짜일 수도 있다”는 생각 때문에 진심으로 오싹했다. 그 여운은 꽤 오래 남았고, 저만 그런 게 아니었다. 곤지암의 성공은 지능을 존중하면서도 진짜 공포를 전하려 했던 진심에서 비롯됐다고 생각한다. 과하게 설명하거나, 진부한 장치를 쓰지 않았습니다. 대신 분위기, 여운, 모호함, 그리고 현실성을 무기로 삼았다. 그런 점에서, 제 관점에서 곤지암은 한국은 물론 전 세계 공포영화 팬들에게 있어서도 하나의 이정표가 되었던 작품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